최근 정부가 국민 소비 활성화를 위해 지급 중인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처 중, 특히 배달앱 활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상 속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사용법을 미리 알아두시면 훨씬 유용하게 활용하실 수 있어요.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대상과 금액은?
2025년 민생회복지원금은 가구 소득 수준과 거주지에 따라 차등 지급되고 있어요.
일반 국민은 1인당 15만원, 차상위계층 및 한부모가족은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는 최대 40만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하는 분들은 추가로 5만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민생회복지원금은 기본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목적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처에도 제한이 있는 것이 특징이에요.
배달앱에서 왜 사용이 까다로울까요?
민생회복지원금은 사용처가 대부분 지역 내 소상공인 매장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배달앱은 플랫폼 구조상 지역 기반 확인이 어렵고, 대형 프랜차이즈와도 얽혀 있어 단순한 온라인 결제 방식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일부 배달앱에서는 특별한 방식으로만 민생회복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어요.
배달의민족, 만나서 결제 기능이 핵심
배달의민족 앱에서는 '만나서 결제' 기능을 활용해 민생회복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가게배달’ 방식에만 적용되며, 주문 시 배달원이 매장 카드 단말기를 가지고 와 현장 결제를 진행하게 됩니다. 앱 화면에서 해당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가게배달이 가능한 매장을 찾는 것이 우선입니다. 전국적으로 약 20만 곳 이상의 가게에서 해당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활용도는 꽤 높은 편이에요.
요기요에서는 현장결제 기능이 필요
요기요 또한 민생회복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합니다. 일부 매장에서 카드 단말기를 통한 현장결제를 허용하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해요. 다만, 사용 가능한 매장은 앱 내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매장별 조건이 다를 수 있어 주문 전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쿠팡이츠는 아직은 제한적
쿠팡이츠는 현재로서는 민생회복지원금 사용이 거의 어렵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배달 전용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현장결제 인프라가 부족하고, 카드 단말기를 통한 결제 시스템도 일부 가맹점에만 국한되어 있습니다. 향후 업데이트를 통해 개선될 가능성이 있지만, 당장은 사용이 어렵다고 판단하시는 것이 안전해요.
주의할 점과 현실적인 제약
민생회복지원금을 배달앱에서 사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온라인 선결제는 불가능하며, 반드시 현장에서 카드 단말기를 통해 결제해야 합니다. 배민의 경우 ‘배민원’이 아닌 ‘가게배달’만 가능하고, 지자체 관할 내 소상공인 매장이어야 합니다. 대형 프랜차이즈는 대부분 제외되며, 일부 예외만 인정돼요.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는 대안 방법
보다 편하게 민생회복지원금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지역화폐를 활용해 공공 배달앱(예: 땡겨요)을 이용하거나,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쉬운 방법입니다. 특히 고령층이나 모바일 결제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현장 매장을 이용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어요.
마무리
결론적으로, 민생회복지원금은 배달앱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반드시 '현장결제'라는 방식으로만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두셔야 해요. 배민의 ‘만나서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활용하시고, 사용 전 가맹점 조건과 배달방식을 꼭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프라인 매장이나 지역 공공앱을 병행해 활용하신다면, 민생회복지원금을 더 알뜰하게 쓰실 수 있어요.